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홍보

사업 배경 및 목적

  • 노숙인 지원사업 지방 이양 후 지자체의 노숙인 비가시화, 시설 위주 사업으로 지원 축소 문제
  • 거리노숙인 특화 자활사업은 일자리 및 심리교육·훈련 프로그램 제공으로 거리노숙인의 탈 노숙과 사회통합 도모

사업 추진 노력

  • (사업규모 확대) 전국 6개 대도시, 10개 시설에 거리노숙인 자활 일자리 지원체계 구축
    • 전년 대비 사업성과 증대('21년 8개소 291명 → '22년 10개소 395명, 36%증가)
    • 사업 참여자 연인원 기준('21년 1,286명 → '22년 1,838명, 43%증가)
  • (사업근거 마련) 「2023년 노숙인 지침」내 사업 수록 추진 및 「제2차 노숙인 등의 복지 및 자립지원 계획」 내 포함으로 사업 근거 및 확대 명분 획득
  • (일자리 제공 고도화) 지역 연계 일자리 네트워크 추진을 위한 기관 간 업무협약(MOU) 체결 4건
    대표사례

    경기수원우만지역자활센터·수원다시서기노숙인종합지원센터, 노숙인 사회복귀 지원 업무협약 체결(뉴스Q 2022.08.31.)

    전국 4개 도시(광주,부산,수원,서울)에 거리노숙인 일자리 지원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기관 간 협약 체결
    • (네트워크 내용) 지역자활센터 자활사업단 실습, 안심택배 등
  • (사업성과 확산 및 홍보를 위한 언론보도) 보건복지부 및 한국일보를 통한 사업 참여자 성과 내용 인터뷰 언론보도 추진
    대표사례
    (대상기관) 서울시립다시서기종합지원센터, 대전광역시노숙인종합지원센터
    • 한국일보에서 노숙인 기사 취재, 참여자를 통해 거리노숙인 특화 자활사업의 우수성 및 지속사업 요구 내용 게재

사업 추진 성과(2019년 ~ 2022년 기준)

전체 거리노숙인 중 30% 수준에 달하는 사업 수혜율

(단위 : 명, %)

전체 거리노숙인 중 30% 수준에 달하는 사업 수혜율 - 구분, 거리 노숙인 현황, 사업 참여자 현황 안내
구분 거리 노숙인 현황* 사업 참여자 현황
인원 사업 수혜 비율
2019년 1,246 380 30.5
2020년 1,241 394 31.7
2021년 1,201 291 24.2

* 연도별 거리 노숙인 현황은 2021년도 노숙인 등의 실태조사 참조

사업 참여자 중 과반 수 이상의 심리·교육훈련 참여 성과

(단위 : 명, %)

사업 참여자 중 과반 수 이상의 심리·교육훈련 참여 성과 - 구분, 참여자, 일자리 제공, 심리지원, 교육훈련 안내
구분 참여자 일자리 제공 심리지원 교육훈련
인원 비율 인원 비율 인원 비율
2019년 380 357 93.9 308 81.1 265 69.7
2020년 394 383 97.2 295 74.9 167 42.4
2021년 291 289 99.3 202 69.4 189 64.9
2022년 395 390 98.7 311 78.7 298 75.4
합계 1,460 1,419 97.2 1,116 76.4 919 62.9

높은 수준의 사업 자립 기반 확보* 성과

(단위 : 명, %)

사업 참여자 중 과반 수 이상의 심리·교육훈련 참여 성과 - 구분, 참여자, 주거지원 연계, 수급권 연계, 상위 일자리 연계 안내
구분 참여자 주거지원 연계 수급권 연계 상위 일자리 연계
인원 비율 인원 비율 인원 비율
2019년 380 157 41.3 86 22.6 56 14.7
2020년 394 187 47.5 176 44.7 169 42.9
2021년 291 166 57.0 148 50.9 101 34.7
2022년 395 161 40.8 184 46.6 130 32.9
합계 1,460 671 46.0 594 40.7 456 31.2

* 2021년도 노숙인 등의 실태조사 거리노숙인 서비스 이용률(주거지원 8.7%, 일자리 연계(자활·공공근로 등) 18.7%) 대비 높은 자립 기반 확보 성과

사업진행 사진

일자리 제공

  • 거리청소

  • 일자리 제공

  • 재사용 나눔가게 기증품 분류

  • 일자리 제공

  • 일자리 제공

  • 노인복지관 무료급식소

심리지원 및 교육훈련 프로그램

  • 개인 심리상담

  • 심리검사

  • 인문학 강의

  • 글쓰기 강의

  • 교육훈련

  • 심리치유 프로그램 난타

    음악심리치유

콘텐츠 담당자

  • 부서사업개발부
  • 이름이재웅 선임
  • 연락처02-3415-6937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