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자활을 둘러싼 제반 환경과 제도, 주요 현안에 대한 전문적 논의의 장을 마련함으로써 자활사업의 발전에 기여하고자 함
- 1 시의성 있는 자활정책과 정보를 공유하고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토론의 장 마련
- 2 국내외 자활관련 동향 소개 및 담론 형성의 장 마련
- 3 자활지원 정책 개발의 장 마련
목표
- 근로연계 복지정책의 이니셔티브를 바탕으로, 자활사업 발전을 위한 정책대안 모색
- 자활의 시너지를 창출하기위해 사회적경제와의 네트워크를 구축한다.
대상
- 자활관련 전문가 및 자활현장의 15인이내 구성
구성
- 연 4회 이상 자활과 관련된 주제로 기획되며, 전문적 논의가 이루어지는 장으로 운영하여 이슈 확산 및 정보 제공의 기능을 도모한다.
- 연간 진행되어온 자활정책포럼의 내용들을 웹브리프로 발간한다.
2021 자활정책포럼 주요 성과
2021 자활정책포럼 주요 성과 - 자활정책 포럼 및 정책 Brief 추진내용 , 개최일자
자활정책 포럼 및 정책 Brief 추진내용 |
개최일자 |
제1회 자활정책포럼 “코로나 19 이후 자활사업 변화와 확대방안”
- 코로나19로 인한 영향 및 사회정책 대응
- 자활정보시스템으로 본 코로나 19 이후 참여자 특성과 향후 정책방안
- 코로나 19 이후 자활사업 현장의 변화
|
2021.05.27.(목) |
제2회 자활정책포럼 “저소득층 공공일자리 확대 방향성”
- 저소득층 경제활동 및 고용환경 특성 분석
- 기존의 저소득층 공공일자리 분석과 새로운 대상 중심 공공일자리 대안
- 현장에서의 신규 유입되는 자활 대상자들을 위한 일자리 사업 사례
|
2021.08.26.(목) |
제3회 자활정책포럼 “더 나은 일자리와 소득, 삶으로의 진입을 위한 자활사업 경로 찾기”
- 자활사업의 제도적 기능과 성과
- 자활사업 변화와 주요쟁점
- 라운드 테이블
|
2021.11.12.(금) |
제4회 자활정책포럼 “청년 빈곤층 유입과 자활사업”
- 빈곤청년의 자활사업 참여 경험
- 청년 자립도전 사업단 참여자 실태 및 정책 효과성
|
2021.12.08.(수) |
2022 자활정책포럼 주요 성과
2022 자활정책포럼 주요 성과 - 자활정책 포럼 및 정책 Brief 추진내용, 개최일자
자활정책 포럼 및 정책 Brief 추진내용 |
개최일자 |
제1회 포럼 “자활사업과 국민취업지원제도 연계방안”
- 국민취업지원제도 참여자 특성과 만족도
- 실업부조제도로서 자활급여 및 국민취업지원제도에 관한 검토
|
2022.03.31.(목) |
제2회 포럼 “사회서비스 영역에서의 자활사업의 확장 가능성”
- 사회서비스 영역에서의 자활사업 모색
- 사회서비스 영역에서의 자활기업 사례
- 사회서비스 영역에서의 지역자활센터 사업 연계사례
|
2022.06.10.(금) |
제3회 포럼 “자활사업 참여자 맞춤형 자활 지원 방안 모색”
- 저소득 1인가구 중장년 자활사업 현황과 추진방안
- 근로미약자 자활사례관리를 위한 주요 개념정의와 발전방안
|
2022.10.28.(금) |
제4회 포럼 “자활사업 참여자들에 대한 다차원적 접근:: 2022 자활사업 참여자 실태조사 결과”
- 2022년 실태조사, 자활사업 참여자들의 현주소
- 2022년 실태조사, 자활사업의 정서적 자활과 과정적 자활
|
222.12.12.(월) |